쿠싱증후군은 부신에서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질환입니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지만, 과다하게 분비되면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 쿠싱증후군의 원인
쿠싱증후군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인성 쿠싱증후군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등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을 장기간 복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은 염증을 줄이고, 면역 반응을 억제하며,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하지만 장기간 복용할 경우 쿠싱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내인성 쿠싱증후군은 부신에서 코르티솔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발생합니다. 내인성 쿠싱증후군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뇌하수체 종양 : 뇌하수체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뇌하수체 종양이 발생하여 ACTH가 과다하게 분비되면 부신에서 코르티솔이 과다하게 분비될 수 있습니다.
- 부신 종양 : 부신은 코르티솔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부신 종양이 발생하여 코르티솔이 과다하게 분비될 수 있습니다.
- 다낭성난소증후군 :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여성의 난소에서 여러 개의 작은 난소낭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있는 여성은 뇌하수체에서 ACTH가 과다하게 분비될 수 있습니다.
- 거식증 : 거식증은 음식 섭취를 심하게 제한하는 질환입니다. 거식증이 있는 환자는 뇌하수체에서 ACTH가 과다하게 분비될 수 있습니다.
◆ 쿠싱증후군의 증상
쿠싱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중 증가 : 특히 팔다리가 가늘어지고 복부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배가 나오는 중심성 비만이 특징입니다.
얼굴 변화 : 얼굴이 달덩이처럼 둥글게 되고, 목뒤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물소 혹이 생깁니다.
근력 약화 : 쿠싱증후군 환자는 근육량이 감소하여 힘이 약해지고, 쉽게 피로를 느낍니다. 이는 코르티솔이 근육의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골다공증 : 코르티솔은 뼈의 형성을 억제하고, 뼈의 흡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골밀도가 감소하여 뼈가 약해지고, 골절이 잘 발생합니다.
고혈압 : 쿠싱증후군 환자는 고혈압을 앓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코르티솔의 과다 분비로 인해 혈관이 수축되어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르티솔의 과다 분비로 인해 인슐린의 작용이 저하되어 혈당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피부 변화 : 피부가 붉어지며, 쉽게 멍이 듭니다. 이는 코르티솔이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입니다. 쿠싱증후군으로 인한 피부 변화는 갑자기 나타나거나, 기존의 여드름이나 다모증이 심해지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여드름 : 여드름은 쿠싱증후군의 흔한 피부 증상 중 하나입니다. 코르티솔은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피지 분비가 증가하면 모공이 막혀 여드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다모증 : 다모증은 쿠싱증후군의 여성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코르티솔은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안드로겐의 증가는 얼굴, 가슴, 배, 다리 등에 털이 자라는 다모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월경 이상 : 월경 이상은 쿠싱증후군의 여성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월경이 불규칙해지거나, 생리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는 코르티솔이 여성호르몬의 분비를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정신적 변화 : 코르티솔의 과다 분비로 인해 기분이 우울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우울증, 불안, 과민성, 집중력 저하,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쿠싱증후군의 자가진단
쿠싱증후군의 자가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에 대해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얼굴이 달덩이처럼 둥글게 되는 중심성 비만
- 목뒤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물소혹
- 팔다리보다 몸통이 비대해지는 체형 변화
- 여드름, 다모증, 피부 얇아짐, 멍이 잘 드는 등의 피부 변화
- 근력 약화, 골다공증, 혈압 상승, 혈당 상승, 우울증, 정신병 등의 증상
이러한 증상이 3~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쿠싱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자가진단 결과 쿠싱증후군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 Unsplash의 Diana Polekhina
◆ 쿠싱증후군의 치료법
쿠싱증후군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인성 쿠싱증후군의 경우, 스테로이드제의 용량을 서서히 줄여서 중단하는 것이 치료의 기본입니다.
내인성 쿠싱증후군의 경우,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치료를 시행합니다.
1. 약물 치료
쿠싱증후군의 원인이 부신에 생긴 종양이 아닌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코르티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네랄코르티코이드: 미네랄코르티코이드는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코르티솔 호르몬의 일종으로, 혈압 조절, 염분과 수분의 균형 유지, 면역 체계 조절 등에 관여합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되는 미네랄코르티코이드로는 플루드로코르티손(fludrocortisone)이 있습니다.
- 안드로겐: 안드로겐은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근육량 증가, 뼈 형성, 성욕 증진 등에 관여합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되는 안드로겐으로는 미네랄코르티코이드와 함께 사용되는 플루옥시메스톤(fluoxymesterone)이 있습니다.
- 카테콜아민: 카테콜아민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으로, 혈압 상승, 혈당 증가, 심장 박동수 증가 등에 관여합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되는 카테콜아민으로는 아드레날린(adrenaline)이 있습니다.
- 시토스타틴: 시토스타틴은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물질입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되는 시토스타틴으로는 메티라폰(metyrapone)이 있습니다.
2. 수술 치료
쿠싱증후군의 원인이 부신에 생긴 종양인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종양이 양성인 경우는 부신을 모두 제거하거나 종양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악성인 경우에는 부신을 모두 제거하고,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3. 방사선 치료
뇌하수체에 발생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지만, 크기를 줄여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코르티솔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
- 쿠싱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
- 합병증을 예방
쿠싱증후군의 치료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될 수 있습니다. 치료 중에는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쿠싱증후군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치료가 늦어지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